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2

세계의 종교 5 - 유대교와 유대인의 뜻, 유대인 박해의 역사 '유대인'이란 유대교를 믿는 사람을 말하기도 하지만, 이스라엘 민족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스라엘 민족을 유대인이라 부르는 이유와 기나긴 유대인 박해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이스라엘 민족을 유대인이라 부르는 이유 앞 서 말한 것처럼 유대교를 믿는 사람을 유대인이라 하지만, 유대교를 믿지 않는 이스라엘 사람도 유대인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이스라엘 민족 전체를 유대인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은 아브라함이다. 아브라함이 하느님의 명을 받아 약속의 땅인 가나안으로 옮겨오면서 이스라엘의 역사가 시작되었지만, 사실상 '이스라엘 민족'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것은 아브라함의 손자인 야곱 덕택이다. 야곱은 이삭의 둘째 아들로 당시의 관습에 의해 하느님의 모든 축복은 형 에사오가 가져야 했.. 2022. 10. 17.
세계의 종교 4 - 유대교의 명절(2) 유대교의 3대 명절인 유월절, 칠칠절, 초막절을 비롯한 유대교 명절의 종류와 그 기원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부림절(Purim, 푸림) 부림절은 태양력 2월 또는 3월, 유대력으로는 아달월 14일과 15일에 열리는 유대교의 명절로 성서 '에스델기'에 나오는 여왕 에스델의 행동을 기념하는 축일이다. 페르시아의 총리대신인 하만이 페르시아 내 모든 유대인을 죽일 계획을 세우자, 유대인인 여왕 에스더가 왕을 설득해 유대인의 몰살을 막게 되고 오히려 하만이 처형당하자 이를 기념한 것이 부림절이다. '푸림'은 하만이 유대인을 처형할 날짜를 정하기 위해 '푸르'라 불리는 제비뽑기(혹은 주사위)를 사용한 데서 유래했다고 전해지며, '제비뽑기 축제'라고도 불린다. 부림절에 유대인들은 회당에 나가 함께 에스델기를.. 2022. 10. 17.
세계의 종교 3 - 유대교의 명절(1) 유대교의 3대 명절인 유월절, 칠칠절, 초막절을 비롯한 유대교 명절의 종류와 그 기원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유월절(Pesach, 페사흐) 유월절(페사흐)은 유대교의 3대 명절 중 하나로 태양력 3월 또는 4월, 유대력으로는 1월인 니산월 14일에 일주일 동안 열린다. '페사흐'는 히브리어로 '넘어가다', '지나가다'를 뜻한다. 봄에 지내는 명절이라 '봄축제(하그 에 아비브)'라고도 하며 이집트의 노예 생활에서 벗어난 것을 기려 '자유의 때(즈만 헤루테누)'라고도 한다. 모세와 이스라엘 민족의 귀향을 막는 이집트에 하느님은 10가지 재앙을 내리는 데 마지막 재앙은 첫 번째로 태어난 모든 것들의 죽음이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문설주와 안방에 양의 피를 발라 재앙을 무사히 넘기고 이집트를 탈.. 2022. 10. 17.
세계의 종교 2 - 유대교의 경전(히브리 성서) 유대교의 경전인 율법서, 예언서, 성문서로 구성된 히브리 성서를 비롯해 유대인들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는 미슈나와 탈무드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히브리 성서 성경 중 '구약성서' 부분을 유대교에서는 '히브리 성서'라고 부른다. 유대교는 예수를 메시아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예수 이전의 기록인 '구약성서'만을 경전으로 인정한다. 히브리 성서는 율법서(토라, Torah), 예언서(네비임, Nevi'im), 성문서(케투빔, ketuvim)로 나뉘는데, 이들의 앞글자(TNK)를 따서 '타냐크'라고도 한다. 율법서(토라) 토라는 히브리 성서 중 첫 다섯 편을 말한다. 토라는 모세가 쓴 다섯 권의 책인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를 말하기 때문에 '모세오경'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유대교 성경 전.. 2022. 10. 17.
세계의 종교 1 - 유대교의 기원과 유대교의 특징 유일신을 믿는 최초의 종교이자,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뿌리인 유대교의 탄생 기원은 무엇이며, 유대교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려 한다. 유대교와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 유대교는 메소포타미아의 우르라는 지역에 살던 아브라함에 의해 기원한 종교이다. 아브라함이 살던 시기에는 우상 숭배와 다신교가 만연했는데, 아브라함에 의해 처음으로 유일신을 믿는 종교가 생겨났다. 어느 날 아브라함은 '고향을 떠나 새로운 땅으로 가면 위대한 민족의 조상이 되게 해 줄 것'이라는 하느님의 명을 받고 이를 따르게 된다. 이는 인간과 하느님 사이에 최초로 맺어진 계약으로, 계약은 유대교의 가장 큰 특징이다. 80세가 넘도록 아내 사라와의 사이에서 아이가 없던 아브라함은, 아내의 권유에 따라 몸종인 하갈과 동침해 86세의 나이에 아들 '.. 2022. 10. 17.
백년전쟁의 발생 배경과 전개 과정 및 백년전쟁의 영향 간단 요약 1337년부터 1453년까지 100여 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프랑스와 잉글랜드 사이에서 벌어진 백년전쟁의 발생 배경과 전개 과정 및 백년전쟁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백년전쟁의 발생 배경 백년전쟁 발생의 표면적인 이유는 프랑스 왕위 계승을 둘러싼 대립이었지만, 본질적 이유는 플랑드르 지역(현 벨기에)의 지배권에 있었다. 플랑드르 지역은 프랑스 영토 내 위치했지만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는데, 이 지역의 발달한 양모 산업은 영국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주었고 프랑스는 플랑드르를 차지하기 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1328년 프랑스의 샤를 4세가 아들 없이 사망하자 그의 사촌 동생인 필리프 6세가 왕이 되었다. 이에 영국 왕 에드워드 3세가 자신은 전 프랑스 왕인 필리프 4세의 손자이며 자신의.. 2022. 10. 12.
연대순으로 알아보는 십자군 전쟁의 전개 양상 및 영향 간단 요약 약 200년 간 총 8차례의 원정이 이뤄졌던 십자군 전쟁의 전개 양상 및 전쟁의 영향에 대해 간단히 요약해보려 한다. 십자군 전쟁이란 십자군 전쟁이란 1095년부터 1291년까지 약 200년간 계속되었던 전쟁으로 수 세기 동안 기독교의 지배하에 있던 성지 예루살렘이 무슬림의 통치하에 놓이자 이를 되찾기 위해 벌인 기독교와 무슬림 간의 종교 전쟁이다. '십자군 전쟁'이라 불린 이유는 전쟁에서 싸운 기사들이 옷에 십자 모양의 표시를 하고 싸운 데서 유래하였으나, 당시에는 '순례단'이라 불렸고, 후에 역사학자들에 의해 십자군 전쟁이라 불리게 되었다. 십자군 전쟁은 이교도들에게서 성지를 되찾는다는 종교적 목적과 함께 새로운 영토와 경제적 이익에 대한 욕망, 종교적 열정, 면벌부의 획득, 가톨릭 내부 불만의 해결.. 2022. 10. 8.
30년 전쟁의 이유와 전개 과정 및 전쟁의 영향 구교(가톨릭)와 신교(프로테스탄트)의 대립으로 일어난 종교전쟁인 30년 전쟁의 이유와 전개 과정 및 전쟁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30년 전쟁의 이유 1517년 교회의 타락을 비판한 마르틴 루터가 '95개 조 반박문'을 비텐베르크 교회 문에 붙이면서 시작된 종교개혁으로 기존 가톨릭(구교)에서 신교(프로테스탄트)가 분리되었다. 이후 구교와 신교 사이의 반목과 박해는 날로 심해져갔다. 이에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 화의가 열렸는데, 이 화의에서 루터파 개신교도들에게 가톨릭교도와 동등한 권리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때 인정된 신앙 선택의 자유는 오직 영주에게만 해당되는 것으로 일반 개인은 영주가 선택한 종교를 믿어야 했다. 또한 공인된 신교는 루터파뿐이었고 칼뱅파 신교도들은 제외되었다. 아우크스부르크 화.. 2022. 9. 28.